각막은 콜라겐 섬유조직으로 이루어진 탄력적이면서도 균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각막이 구조적으로 불안정해지면서 얇아지고 불규칙적인 각막의 형태로 변하는 것을 각막확장증이라고 하는데, 이 중에서도 특히 원추 형태로 튀어나오는 것을 원추각막이라고 합니다. 보통 사춘기 때에 시작을 하여 20대에 진행이 멈추거나, 지속적으로 진행을 하는 두가지 형태로 나누어지면서, 전 인종에 걸쳐 대략 1,000명 중 1명꼴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너무 자주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처방이 바뀐다거나, 양쪽 눈의 시력 및 굴절검사의 차이가 아주 심한 경우, 갑자기 심한 난시가 생겨 안경으로 교정이 잘 되지 않는다면 정밀검사를 받아보아야 합니다. 이러한 증상이 지속될 경우 영구적인 시력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상안
원추각막안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타고난 소인과, 환경적인 요인, 영양소 불균형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측되나 그중 가장 중요한 원인은 눈을 자주 비비는 습관입니다. 최근 라식이나 라섹수술 후 최소한의 각막 두께를 남기지 못해 각막이 많이 얇아지거나, 원추각막으로 이행하기 쉬운 소인이 내재되어 있는 경우, 눈 속의 안압이 불안정한 각막을 밀고 나옴으로 해서 원추각막이 발생하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 FDA에서는 안전기준 250㎛을 두어 안전한 수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각막확장증을 예방할 수 있는 콜라겐 교차결합술을 이용한 라식,라섹수술이 각광 받고 있습니다.
① 원추각막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원추각막의 미세한 소견들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막의 전면뿐 아니라 후면의 이상 유무까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② 원추각막을 발견하지 못한 채 라식/라섹수술을 강행하거나 각막이 얇은데도 불구하고 수술하게 되면 원추각막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므로, 각막을 절삭하는 방식보다는 각막의 두께를 소모하지 않는 방식으로의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각막이 얇거나 약한 경우 안과적 시술 시 절삭으로 인한 원추각막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콜라겐 결합술을 함께 시술함으로써, 추후 발생 가능성이 있는 원추각막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각막은 우리 몸의 단백질 성분 중 하나인 콜라겐이라는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구조물들은 따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겹겹이 서로 맞물려 있는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이 구조물들의 결합력이 견고하지 못하면, 각막이 원래의 모양을 유지하지 못하고 변형되게 됩니다. 원추각막 환자 역시 이 결합력이 정상보다 떨어져 있으므로, 이 결합력을 증대시키면 각막이 그만큼 튼튼해지므로, 안구 내 압력에 의해서 앞쪽으로 돌출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습니다.
콜라겐 교차결합술은 이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리보플라빈(Riboflavin, Vitamin B2)을 각막 내로 스며들게 한 뒤, 다시 그 위에 자외선(Ultraviolet Light A)를 쬐어 주는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리보플라빈은 자외선의 광에너지에 의해 활성화되면서 각막 내 콜라겐들의 결합력을 300% 정도 높이게 됩니다. 그 결과 원추각막 진행을 억제 혹은 예방할 수 있습니다.
불규칙한 형태의 원추각막 위에 균일한 인공 표면을 제공하여 원추각막 환자 각각에 맞도록 맞춤 제작 되어 시력이 교정되도록 합니다.
그러나 원추각막 초기에는 어느 정도 교정이 가능하나, 진행이 많이 되면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통한 교정은 불가능하게 됩니다.
원추각막 렌즈의 경우 각각의 눈에 맞도록 처방 및 제작을 하여야 하고, 착용은 진행이 완전하게 멈춘 뒤 고려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뾰족한 각막이 하드렌즈에 마찰을 일으키거나, 렌즈로 인한 염증이 유발될 경우, 렌즈 자체에 적응 못 할 경우 등 진행 중에 하드렌즈를 착용하게 되면, 각막 손상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하드렌즈의 각막 눌림 효과로 인해 진행 여부를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렵게 되어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링 삽입술은 각막 내에 특수 제작된 '링'을 삽입하여 각막의 모양을 변화시켜 근시를 교정하는 방법입니다.
각막의 실질 층 내에 삽입하여, 각막을 치료하거나, 도수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택스 링은 미세하게 휘어진 탄성을 갖는 작은 고리로 각막에 삽입되었을 때, 각막의 주변부를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게 됩니다.
이로 인해 볼록한 각막이 펴지는 효과가 나타나며, 이는 각막의 볼록도 감소 즉 오목해지는 효과와 유사하게 초점을 이동시켜 근시를 교정해주는 효과로 이어지게 됩니다.
CXL은 각막 콜라겐 교차결합술(Corneal Collagen Cross- linking)의 줄임말로서, 원추각막이나 각막확장증의 진행을 억제하는 치료 방법 중 하나입니다.
각막을 구성하고 있는 콜라겐 층 사이에 리보플라빈(Riboflavin, Vitamin B2)을 각막 내로 스며들게 한 후 자외선을 쬐어 주는 방식으로 새로운 화학적 결합을 유도하여, 각막 층이 더욱 단단해지게 함으로써, 안구 내 압력에 의해 각막이 앞쪽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을 예방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콜라겐 층 사이에 리보플라빈을 떨어뜨린다.
리보플라빈을 스며들게 한 후, 자외선을 쬐어 각막을 강화시켜 준다.
교차결합술로 각막이 강화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원추각막이 매우 심각한 단계에 이르게 되면 각막이식 외에 방법이 없습니다.
각막이식은 매우 높은 성공률을 보이나, 각막기증자가 워낙 적어 수술의 기회가 적을뿐 아니라, 이 수술은 각막 전체를 절개해야 하며 수술도 전신 마취하에 이루어지고, 1년 이상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하며, 또 거부반응으로 인한 실패 확률도 높습니다.
각막이식수술을 받을 경우 80~90% 정도는 유용한 시력을 얻을 수 있지만, 수술 후 각막 난시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각막의 상태가 안정된 후에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교정될 수 있습니다.